본문 바로가기
DataBase

오라클 리스너(Listener)와 TNS(Transparent Network Substrate)

by 스파이디웹 2020. 7. 6.
728x90

-리스너(listener)란?

오라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듣고, 클라이언트와의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파일

 

오라클 서버에 존재,오라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접속할 때 필요한 프로토콜 및 포트 정보등을 설정하는 파일

 

ex)

SID_LIST_LISTENER =

 (SID_LIST=

  (SID_LIST =

   (SID_NAME = PLSExtProc)

   (ORACLE_HOME =C:\oraclexe\app\product\11.2.0\server)

   (PROGRAM = extproc)

  )

   (SID_DESC =

     (SID_NAME = CLRExtProc)

     (ORACLE_HOME = C:\oralcexe\app\product\11.2.0\server)

     (PROGRAM = extproc)

  )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1))

    (ADDRESS = (PROTOCOL = TCP)(HOST = 컴퓨터이름)(PORT = 1521))

  )

)

 

DEFAULT_SERVICE_LISTENER = (XE)


-tns(Transparent Network Subtrate)란?

tnsname.ora파일은 client가 Oracle Server에 접속하기 위해서 server 컴퓨터에 하는 설정 파일

 

클라이언트에서 오라클 서버로 접속할 때 필요한 프로토콜 및 포트번호, 서버주소, 인스턴스 등을 설정해주는 파일

 

ex)

XE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컴퓨터이름)(PORT = 1521))

   (CONNECT_DATA =

    (SERVER = DEDICATED)

    (SERVICE_NAME = XE)

  )

)

 

TNS는 TCP프로토콜만 받을 수 있습니다.

SERVICE_NAME 은 XE

USER: SYS | PASSWORD:내가 설치시 지정한 패스워드값


참고

 

-DESCRIPTION: 접속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

 

-ADDRESS: 접속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리스너를 호출하기 위한 주소정보

 

-CONNECT_DATA: SERVICE_NAME 옵션을 이용하여 접속할 리스너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서비스 이름을 지정하거나

                         또는 SID옵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SID명을 지정

 

-SID_NAME: 리스너의 접속을 허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SID명을 지정

728x90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데이터 타입(data type) 정리  (0) 2020.07.06
Oracle 데이터 타입(data type) 정리  (0) 2020.07.06
JPA이란?  (0) 2020.06.19
MySQL에 날짜입력하기  (0) 2020.06.05
oracle DBMS와 MySQL DBMS의 문법차이  (0) 2020.04.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