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마스터 데이터 vs 트랜잭션 데이터, fact테이블 vs dimension 테이블, 시계열 데이터란?
마스터 데이터란? 트랜잭션 데이터란? 트랜잭션 데이터(transaction data): 시간과 함께 생성되는 데이터를 기록한 것 한 번 기록하면 시간과 함께 생성되기에 변화하지 않는다. 트랜잭션 데이터 는 트랜잭션에서 수집한 정보입니다. 거래가 진행된 시간, 발생한 장소, 구매한 항목의 기준 소매 가격, 사용된 지불 방법, 할인(있는 경우), 거래와 관련된 기타 수량 및 품질이 기록 트랜잭션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정형 데이터 범주에 속합니다.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금융 트랜잭션 데이터: 보험 비용 및 청구 데이터, 또는 구매 또는 판매 데이터, 은행의 경우 입출금 데이터물류 트랜잭션 데이터: 배송 상태 데이터, 배송 파트너 데이터업무 관련 트랜잭션 데이터: 직원 시간 추적 ex) 판매 이력 마스..
2021. 8. 6.
[SQL] NULL 과 NULL처리 함수,연산자
NULL이란 알려지지않은 값(unknown),정해지지 않은 값으로 공백과 0과는 다른 개념. ORACLE NULL처리함수 NVL(컬럼명,지정값) -입력한 컬럼명의 값이 null인 경우 지정값으로 대체 NVL2(컬럼명,지정값1,지정값2) -입력한 컬럼명의 값이 null이 아닌경우 지정값1로 대체, null인 경우 지정값2로 대체 ORACLE및 다른 모든 DBMS NULL처리 함수 COALESCE(expr1,expr2,expr3,…) -expr1이 NULL이 아니면 expr1값을, 그렇지 않으면 COALESCE(expr2,expr3,…)값을 반환. -주어진 인수에서 첫번째로 null이 아닌 값을 반환 ex1) COALESCE(empno,1) empno가 null이면 1 empno가 null이 아니면 empn..
2021. 3. 4.
[Data&SQL] Ad-Hoc , Ad-Hoc 쿼리란?
Ad-Hoc이란? 라틴어로, 직역하면 그것에 대해서라는 뜻. '임시변통 가설'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의 훌륭한 예시이며, 대개 무의미하다. 학문적인 의미로 쓰일 때는 Ad Hoc가설이라 해서, '어떤 이론이나 학설, 논리에 대한 부정적인 근거나 반박이 나왔을 때 오직 그것에 대해서 반박하기 위해서만 필요한 가설', '반박을 위한 반박', '임시방편'을 일컫는다. 피반박자가 갖고 있는 의제가 논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궤변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즉, 문제에 대해 충분히 일반화되지 않은 해법인 셈.(임시(임기변통)의 뜻, 즉석에서 만드는 의 뜻이 강함) Ad-Hoc 쿼리란? 말그대로 Ad-Hoc의 성격을 띈 query이다. ex) 좀 여유롭게,혹은 특정한 형식 없이 사용할 ..
2021.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