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336

[MySQL]오류문구 Workbench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localhost' (10061) 에러 코드 > Could not connect, server may not be running.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localhost' (10061) 에러 해결 > 내PC 마우스 오른쪽 관리 클릭>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 > 서비스 클릭 > MySQL이 멈춰있다면 실행 시켜줌 > Workbench 다시 켜서 작동 시키면 잘 됨. 출처: https://xodgl2.tistory.com/34 2020. 12. 5.
데이터베이스,SQL 조인(join)완벽 정리 ●(theta join)세타조인(R▷◁(r 조건 s)S): -조인에 참여하는 두 릴레이션의 속성 값을 비교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투플만 반환한다. -세타조인의 조건은{=,≠,≥,≤,>, 2020. 11. 28.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쿠키(cookie) -HTTP 프로토콜은 상태가 없다. 이전에 무엇을 했고, 지금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고 나면 해당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지속하지 않는다. -쿠키는 상태가 없는 프로토콜을 위해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쿠키는 웹 브라우저의 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저장하며, 이후에 서버로 전송되는 요청에는 쿠키가 가지고 있는 정보가 같이 포함되어서 전송된다.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의 요청에 포함되어 있을 쿠키를 읽어서, 새로운 웹 브라우저인지 이전에 요청을 했던 웹 브라우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1)쿠키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저장한 임시 팡리이다. 2)쿠키는 4KB 이하의 크기로 일반적으로 .. 2020. 11. 15.
DBCP API를 이용한 커넥션 풀 커넥션 풀(Connection pools) -커넥션은 객체이다. 이 객체가 만들어질 때마다 많은 시스템 자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메모리에 객체를 할당할 자리를 만들고 또 객체가 사용할 여러 자원들에 대한 초기화 작업, 또한 이 객체가 더 이상 필요 없을 때 객체를 거둬들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위의 시스템 자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넥션 풀에 커넥션 객체들을 만들어 놓은 후, 커넥션 객체가 필요한 경우 작성한 객체를 할당해 주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다시 커넥션 풀로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커넥션 풀은 끊임없이 생성되는 커넥션 문제 해결이 목적으로, 반드시 컨테이너(container)에 1개만 만들어지도록 해야 한다. -커넥션 풀의 전략 1.service()메소드(사용자 요청)당 1개씩 할.. 2020. 11. 15.
JQuery 사용법 JQuery 기본 사용법 1)기본 문법 ex) $(selector).action() $:JQuery에서 정의 및 접근에 사용 (selector): HTML 엘레먼트 action():해당 엘리먼트에서 수행할 동작 2)실렉터 - HTML 엘리먼트에 접근 -JQuery 실렉터는 엘리먼트를 선택하여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모든 JQuery의 실렉터는 $로 시작해 $()와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 -()안에는 엘리먼트명, 엘리먼트의 id속성값, class속성값 등이 올 수 있다. 실렉터 표시 형태 사용 예 엘리먼트명 $("엘리먼트명") -HTML 태그 연습 -JS에서 접근 $("p") 엘리먼트의 id 속성값 $("#id속성 값") -HTML 태그 연습 -JS에서 접근 $("#test") 엘리먼트의 cla.. 2020. 11. 15.
Ajax+JQuery Ajax(Asynchronous JavaScript & XML) 정의 -비동기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을 위해 아래와 같은 조합을 이용하는 웹 개발 기법이다. 탄생 배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플래시를 사용한 플러그인, 자바 애플릿, 액티브엑스 등 웹 브라우저 자체의 기능이 아닌 추가적인 기능을 사용해서 구현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생각되어져 왔다. 그러나 구글 랩이 공개된 이후 이런 생각들은 바뀌게 되었다. 자바스크립트, DOM, 스타일 시트 등의 웹 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능들을 사용해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만 당시에는 이런 기술을 한마디로 정의할 용어가 없어 Ajax로 불리게 되었다. -오래된 새로운 기술(이미 있었던 것을 조합해서 새롭게 발전시킨 기술)로 웹 브라우저가 기본적.. 2020. 11. 15.
액션 태그(Action tag) -액션 태그 1)스크립트, 주석, 디렉티브와 함께 JSP 페이지를 이루는 요소이다. 2)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의 제어를 이동시킬 수도 있고, 다른 페이지의 실행 결과를 현재의 페이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3)자바빈을 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잇는 기능도 제공한다. 4)웹 브라우저에서 자바 애플릿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도 있다. -JSP에서 제공하는 6개의 액션 태그 액션 태그명 액션 태그 설명 include 다른 페이지의 실행 결과를 현재의 페이지에 포함할 때 사용 forward 웹 페이지 간의 제어를 이동시킬 때 사용 plug-in 웹 브라우저에서 자바 애플릿을 실행시킬 때 사용 useBean 자바빈을 JSP 페이지에서 쓸 때 사용 setProperty 프로퍼티의 값을 세팅할 때 사용 g.. 2020. 11. 14.
JSP 내장 객체(Implied Object) -내장 객체는 JSP에서 제공하는것으로, 객체의 레퍼런스를 사용해 객체의 프로퍼티(멤버 필드,전역 변수)와 메소드에 접근한다. -레퍼런스 타입의 변수를 선언과 객체 생성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JSP페이지가 서블릿으로 변환될 때 JSP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제공하기 때문이다. -객체는 멤버 변수와 메소드로 이루어져있는데, 이들을 사용하려면 먼저 객체를 생성하고 레퍼런스 변수를 통해서 객체에 접근한다. ex) Timestamp now = new Timestamp(System.currentTimemillis());은 Timestamp 클래스 타입의 객체를 생성하고, 그 객체가 위치한 곳의 위치 정보는 레퍼런스 변수인 now가 가지게 된다. 향후 이 객체에 접근하려면 now.을 사용한다.(now.toS.. 2020. 11. 13.
[Linux] Cron, Crontab이란? batch 등록하기 -배치(batch)란: (일괄적으로 처리되는)집단, 즉 일괄적으로 뭔가가 처리되는~ -배치를 등록한다는 것은->여러가지 일을 한꺼번에 처리하기 위해 만든 프로그램 (매일 정해진 시간에 혹은 주기적으로 수많은 양의 작업을 직접 타이핑 하지않고 배치 프로그램을 통해 해결) -이 배치를 실행하는것은 개발자가 아닌 스케쥴러가 실행하게 됨. -스케쥴러란: 일정 주기 혹은 특정 시간에 배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주는 프로그램, 리눅스에는 대표적으로 크론탭(Crontab)이 있습니다. -Cron 이란?: 특정한 시간에 또는 특정 시간 마다 어떤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해주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cron입니다. cron은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게 해주는 스케줄링 역할을 합니다. 리눅스에만 있는 개념이.. 2020. 11. 2.
728x90